-
[ 목차 ]
공무원 성과상여금은 공무원의 근무 성과와 실적을 평가하여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로 공직사회의 업무 효율성과 동기 부여를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2025년에는 성과상여금 지급 기준과 방식에 몇 가지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액과 관련된 정보와 변경사항 등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액
성과상여금의 지급 기준액은 공무원의 직급과 호봉에 따라 결정됩니다.
2025년 공무원 보수가 약 3% 인상될 예정이며, 성과상여금 기준액도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하는 '2025년도 지방공무원보수업무 등 처리지침'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액 바로 보기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시기
성과상여금은 일반적으로 매년 3월 말에서 4월 초 사이에 지급됩니다.
2025년의 경우, 3월 31일이 월요일이므로 많은 기관에서 이 날짜에 성과상여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정확한 지급일은 소속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기관의 공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변경사항 (2025년 최신)
2025년에는 성과상여금 지급과 관련하여 몇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이 있습니다.
📌인원 배정 비율 조정
기존에는 S등급 20%, A등급 40%, B등급 40%의 비율로 인원을 배정하였으나, 2025년에는 S등급 30%, A등급 50%, B등급 20%로 조정되었습니다.
2025년 6급 이하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계획 > 결재문서 > 원문정보 > 정보소통광장
2025년 6급 이하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계획
opengov.seoul.go.kr
📌 지급률 조정
S등급의 지급률이 기존의 172.5%에서 180%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A등급은 125%, B등급은 90%로 유지되었습니다.
📌 장기성과급 도입
2025년부터는 단기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성과를 평가하여 보상하는 장기성과급 제도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는 공무원의 지속적인 업무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규정
✅지급 대상
근무 성적이나 업무 실적 등이 우수한 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
✅지급 방법
개인별로 차등 지급하거나, 부서별 또는 지급 단위 기관별로 차등 지급한 후 개인별로 균등하게 지급할 수 있습니다.
✅특별성과가산금
근무 성적이나 업무 실적 등이 우수한 상위 2% 이내의 공무원에게는 성과상여금 또는 성과연봉 지급액의 50%를 특별성과가산금으로 추가 지급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대상
성과상여금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급됩니다.
(1) 일반직 공무원
임기제 공무원을 제외한 일반직 공무원이 해당됩니다.
(2) 별정직 공무원
별정직 공무원도 지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3) 교육공무원 중 교육전문직원
교육전문직원도 성과상여금 지급 대상입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제외 대상
(1) 실제 근무 기간이 2개월 미만인 경우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일 현재 실제 근무한 기간이 2개월 미만인 공무원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여기서 '실제 근무한 기간'이란 평가대상기간 중 휴가, 휴직, 직위해제, 교육훈련 파견 등으로 실제로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을 제외한 실근무 기간을 의미합니다.
(2) 징계 처분을 받은 경우
평가대상기간 중 징계 처분을 받은 공무원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성과상여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기준과 범위 등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합니다.
(3) 기관별 내부 기준에 따른 경우
각 기관은 내부 특성과 실정을 고려하여 성과상여금 지급 제외 기준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관별로 추가적인 지급 제외 대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속 기관의 지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무원 성과상여금 S등급 금액
S등급을 받은 공무원은 지급 기준액의 180%를 성과상여금으로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일반직 9급 공무원의 지급 기준액이 약 2,318,000원이라면, S등급을 받은 경우 약 4,172,400원의 성과상여금을 받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성과상여금은 모든 공무원이 받을 수 있나요?
A1: 성과상여금은 근무 성적이나 업무 실적이 우수한 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이 부여되며, C등급 이하의 경우 성과상여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Q2: 성과상여금 지급 등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2: 성과상여금 지급 등급은 근무 성적 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각 기관은 내부 평가 기준에 따라 공무원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며, 그 결과에 따라 S, A, B 등의 등급이 부여됩니다.
Q3: 성과상여금은 매년 동일한 시기에 지급되나요?
A3: 일반적으로 성과상여금은 매년 3월 말에서 4월 초 사이에 지급됩니다. 다만, 기관별로 지급 시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소속 기관의 공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4: 장기성과급은 무엇인가요?
A4: 장기성과급은 단기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업무 성과를 평가하여 보상하는 제도로, 2025년부터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는 공무원의 지속적인 업무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Q5: 성과상여금 지급 비율이 기관마다 다른가요?
A5: 성과상여금의 지급 비율과 금액은 기본적으로 정부의 지침에 따라 결정되지만, 기관의 예산 상황이나 내부 정책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